축국를 감상하고 감상문

2018.06.19 00:47

當_當 조회 수:397

축국

[]

일본의 축국

일본의 축국

축국은 농주() 또는 기구()라고도 한다. 겨() · 털() · 공기 따위를 넣은 가죽 공을 여럿이 둘러서서 발로 차고 받는 놀이로, 일정한 높이까지 많이 차는 쪽이 이긴다. 우리네 축국 역사는 오래다. 『구당서』의 “고구려 사람들이 축국을 잘한다[인능축국()]”는 내용이 그것이다(「동이전」). 신라도 마찬가지이다. 김유신은 정월에 집 앞에서 춘추공()과 축국을 하다가, 일부러 옷 끈을 밟아 떨어뜨렸다(『삼국유사』 권제1 기이1 「태종 춘추공」).

이것은 고려시대에도 성행되었다. 『동국이상국집』에 실린 이규보의 시(「공을 두고」)이다.

바람 들어간 공 불룩하지만
발로 차면 쭈그러드네.
바람 빠지면 사람들 흩어지고
공은 어느듯 빈주머니꼴이 되고마네.

12세기 초에, 겨나 털 대신 공기를 불어넣은 공이 등장한 것이다. 18세기 말의 『무예도보통지』에서도 당의 『초학기()』를 들어 “국은 국()으로 지금의 축국은 공놀이()이다. 옛적에는 털을 묶어 만들었으나, 지금은 가죽 태(소 오줌통)에 바람을 넣어 찬다.”면서, 다시 『상소잡기()』를 인용하여 “축국은 두 가지이다. 기구()는 발로 차는 것이고, 격구()는 말을 타고 채로 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선 선조 때 중국 과도관의 방문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이덕형이 우리 군사의 훈련 부족을 들며 “중국 군인들은 권투()로 어깨와 무릎을 쉬지 않고 움직였습니다.”하자, 충겸이 “이 제독()은 수시로 형제들과 축국을 하였답니다.” 덧붙였다. 임금은 “중국 장관들이 각기 여러 기예를 지녔음에도 우리는 성격이 느슨하여 팔짱을 낀 채 아무 것도 하지 않으니, 역시 습속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한탄하였다(『선조실록』 27년 4월 24일).

축국은 19세기에도 이어 내렸다. 『동국세시기』에 “젊은이들은 축국을 한다. 공은 큰 탄환만 하며 위에 장목을 꽂았다. 둘이 마주 서서 차되, 떨어뜨리지 않는 것이 으뜸”이라고 적혔다. 이 책의 축국 시이다.

공을 번갈아
받아 차
몇 길씩 까마득히
잘도 오르내리네.
떨어뜨리지 않는 것이
가장 훌륭한 재주라네.
병졸들의 이 놀이는
예부터 전해 오네.

중국에서는 축국() · 답국() · 축국() · 답국()으로 불렀다. 오늘날은 축구를 족구(), 축국은 고대족구() 또는 축국()이라 이른다. 답() · 답() · 축()은 ‘찬다’는 뜻이다.

은상()때 『복사()』에 축국 관계 기사가 있어 역사가 오랜 것을 알려 준다. 『한서』 예문지()에 “국()은 가죽()으로 만들고, 안에 털을 넣으며, 이를 차는 것이 축답()이다. 국은 힘을 써서 상대(지역)를 빼앗는 놀이인 데에서 병법에 맞는다. …(중략)… 근래 국을 구라고도 적는다(「축국이십오편 안주()」).”는 내용이 있다. 이 때 군사 훈련 종목으로 삼은 것이다.

『사기()』에도 “제()나라 임치() 사람들이 축국을 즐겼다.” 하였고(「소진 열전」), 같은 책 「위장군표기열전()」에 “병졸들이 변경에서 굶주리고 있음에도, 표기장군이 땅에 금을 긋고 축국을 즐겼다.”고 적혔다. 『형초세시기』에는 유향()의 『별록()』을 들어 “한식에 노는 축국은 황제()가 군사 훈련을 위해 만들었다. 전국시대에 나왔다는 설도 있다. 국()과 구()는 같은 것으로, 옛 사람들은 답축()을 놀이 삼았다.”고 하였다.

한대에는 황제를 비롯하여, 장사꾼과 심부름꾼에 이르기까지 두루 즐겼다. 서진(西) 갈홍()의 『서경잡기(西)』이다.

황제 유방()이 시골 아버지를 궁궐로 모셨지만 별로 기뻐하지 않았다. 본디 주정뱅이에 도살꾼인 그가 좋아한 닭싸움과 축국을 못한 까닭이다. 황제는 궁 안에 고향 마을을 만들고, 함께 살던 사람들을 불러들여 즐기게 하였다.

같은 책에 축국을 좋아한 성제()에게 신하들이 “몸이 피곤해진다.”며 말리자, “이와 닮은 운동이 있으면 말하라 일러, 탄기로 대신하였다.”는 기사도 있다(권2 「탄기대축국()」).

상병화()는 “한 고조의 척 부인이 여후의 수족을 자르고 귀와 눈을 도려내어 국역()에 버렸다는 국역은, 답국장()을 닮은 굴실”이라 하였다. 당시 축국장을 굴실()에 만들었다는 것이다. 굴실의 형태는 곽거병이 공이 다른 곳으로 굴러가는 막으려고 땅을 파서 답국장을 마련하였다는 기사로 미루어 땅을 우묵하게 판 것으로 보인다. 전용 구장은 수 · 당 이후에 나왔다.

동한 궁궐 문에 새긴 여인들의 축국 모습

동한 궁궐 문에 새긴 여인들의 축국 모습

한대 궁정의 축국

한대 궁정의 축국

이에 대해 사사지마 쓰네호()가 “국역은 국성()의 일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국성이란, 축국장 주위를 벽으로 둘러 쌓은 것으로 …(중략)… 국역은 장방형으로 생각된다. 국역은 국실()이라고도 하였다. 국성에는 동서 양쪽 벽 아래에 각기 6개의 국역이 있다. 그러나 군대 구장에는 벽을 두르지 않았으며, 축국 용 국역은 땅을 파서 만들었다.”고 하였으나,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다.

한대 군대의 축국

한대 군대의 축국

하남성 남양시()에서 나온 후한시대 조각품에, 음악 · 무용 · 곡예 등과 함께 축국 장면이 새겨져 있다. 『태평어람()』에도 “한 말에 세 나라가 다투면서 사람들이 활쏘기와 말 타기를 열심히 익히고, 집집마다 축국을 배웠다.”고 적혔다. 맹원로()는 우군()이 황제 앞에서 축국을 벌였다고 하여(『동경몽화록()』 권9), 축국 열풍이 송대에도 이어진 것을 알려준다.

사사지마 쓰네호는 노는 방법에 따라 다음 네 시기로 나누었다.

1) 전한(서기전 202~서기후 8) 초기 무렵부터 일정한 국역()을 정하였으며, 당(618~907) 초까지 이어졌다.
2) 후한(25~221) 중반기에 구역을 폐지, 20세기 초까지 내려왔다.
3) 당 초기에 두 개의 문을 세웠다가, 북송(960~1127) 때 없앴다.
4) 북송 말기에 문을 하나만 세웠으며, 청대(1616~1911) 중반쯤 자취를 감추었다.

경기 방법은 문의 유뮤와 수에 따라 1) 문을 두 개 세운 것, 2) 문이 하나인 것, 3) 문이 없는 것으로 나눈다.

이 가운데 3)은 혼자 또는 여럿이 둘러서서 차는 방법이다. 혼자인 경우 머리 · 어깨 · 등 · 엉덩이 · 가슴 · 배 · 무릎의 온 몸을 두 다리와 함께 쓴다. 공을 차서 넘기는 것을 혼신해방(), 높이 차 올렸다가 받는 것을 비롱(), 상하좌우로 차되, 떨어뜨리지 않는 재주를 곤롱()이라 한다.

다음은 12세기 초 왕운정()의 『축국도보()』내용이다.

한 사람()부터 9사람()까지 논다.

일인장을 시롱()이라 한다. 혼자 차고 머리로 받기도 하며, 무릎에 얹고 돌려서 다시 두 발로 주고 받다가 차올리는 연속적 재간()이다. 제기처럼 공을 이어 차야 하며, 땅에 떨어뜨리면 진다.

둘이 마주 서서 차는 이인장은 백타() 또는 타이()라 한다.

셋이 돌려가며 차는 삼인장은 소관장()이다.

하화()인 사인장은 넷이 둥글게 서서 공을 주고 받는다. 송대의 구리 거울()에도 넷이 둘러선 가운데 하나가 공을 차는 모습이 있다(송대의 축국을 나타낸 구리거울 이미지 참조).

5명이 차는 것은 소출첨() 이다.

6명이 차는 대출첨()은 12보 떨어진 자리에 넷이 서서 차되, 장소를 바꾸지 못한다,

7명이 차는 낙화유수()는 최고수가 공을 다음 하수자에게 차고, 그 다음은 다시 다음으로 차 나가며, 최 하수자가 다시 최고수에게 돌린다.

8명이 차는 것은 팔선과해() 또는 양산아()이다. 한 변이 1.8미터의 네모 경기장에서 1과 5, 8과 4, 2와 6, 7과 3이 같은 각도로 선다. 공은 1에서 4, 4에서 7, 7에서 5, 5에서 2, 2에서 3, 3에서 8, 8에서 6, 6에서 1로 이어 찬다.

9명이 차는 답화심()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8명이 둥글게 둘러서고 하나가 가운데로 들어가서 공을 주고받는다. 예컨대 1에서 2로, 2에서 3으로, 3에서 1로, 1에서 4로, 4에서 5로, 5에서 1로, 1에서 6으로, 6에서 7로, 7에서 1로, 1에서 8로, 8에서 9로, 9에서 1로 이어 나가며 2 · 4 · 6 · 8의 사람은 1에서 찬 것을 받아 다음으로 넘긴다.

둘째는 2에서 1로, 1에서 3으로, 3에서 1로, 1에서 4로, 4에서 1로, 1에서 5, 5에서 1로 이어 가서, 마지막에 1로 돌린다. 이것은 잘 차는 한 사람이 초심자를 가르치기 알맞은 방식이다.

10명이 차는 것은 전장()이라 한다.

여덟이 차는 순서

여덟이 차는 순서

아홉이 차는 순서

아홉이 차는 순서

축국 경기장에서 공을 차는 순서

축국 경기장에서 공을 차는 순서

당대에는 희종(, 874~888)이 축국을 즐겼으며, 문인 학사도 모두 익혔다.

국역이 없는 축국은 궁정에서 놀이로 벌였고, 가죽에 바람 넣은 공도 이 때 선보였다. 앞에서 든대로, 문이 둘인 축국은 당대에 시작되었으며, 『문헌통고()』에 “위에 그물을 친 높이 서너 발의 장대를 양쪽에 세워서 구문으로 삼았다.”고 적혔다. 공을 넣는 구멍[풍류안()]은 그물 가운데에 있다. 골문 구멍을 공중에 둔 것은 바람 넣은 공이 나온 덕분이다.

당대의 축국장과 문

당대의 축국장과 문

초기의 공은 동물의 오줌통 등에 바람을 불어 넣어 부풀렸으며, 인원 제한 없이 편의에 따라 두 패로 나누었다. 두보()가 「청명시()」에 “축국을 10년이나 했지만, 아직도 솜씨가 늘지 않았다[십년축국장추원()].”고 읊조린 것을 보면, 매우 어려웠던 모양이다.

축국은 당 · 송대에 이르러 더욱 성행되었으며 공과 문 그리고 노는 방법 등 여러면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공은 환모()와 환국() 두 가지였다. 환모는 늙은 소 털을 모아 진흙을 섞어 빚은 뒤, 소의 몸에 대고 문질러서 불려 만든다. 털을 가는 계절에는 곧 커지며, 털공이라고도 한다. 한대의 환모도 이를 닮았을 것이다. 환국은 여러 조각의 가죽을 둥글게 기워서 틀을 잡고 털로 채운 것으로, 국() 또는 구()라 하며, 더러 동물의 오줌통도 이용하였다.

송 태조의 축국도

송 태조의 축국도

송대의 축국을 나타낸 구리거울(넷이 차기)

송대의 축국을 나타낸 구리거울(넷이 차기)

베개 마구리의 축국 모습(송대)

베개 마구리의 축국 모습(송대)

송대에는 무릎까지 차다가, 원 · 명대에 머리 부근까지 올렸으며, 여자와 어린이들도 즐겨 놀았다. 송대 및 금대 백자 베개의 어린이 모습이 그것이다. 원 · 명대의 여성 축국은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원 관한경()의 산곡()인 「여교위()」는 전문적인 여자 축국을 노래한 것이며, 명 두근()의 「임여도()」에도 여성 축국 장면이 보인다. 이 전통은 명 · 청대에도 이어졌으며, 당시에는 축국을 기생이 갖추는 기예로 손꼽았다.

명대의 축국도

명대의 축국도

원 · 명대의 축국 구장

원 · 명대의 축국 구장

『금병매()』의 축국 장면이다.

하나가 공을 머리로 받으면, 하나는 공을 담에 맞히기도 하며 갖가지 재주를 부리면서 연방 계저의 비위를 맞추었다. 그네가 찬 공이 미처 원사()들 앞에 오기도 전에, 재빨리 받아 땅에 떨어뜨리지 않았다. 한 동안 …(중략)… 축국을 한 원사들은 서문경에게 계저 아씨의 축국 솜씨가 아주 좋아지셨습니다. 날아오는 공이 모두 곡구()여서, 저희도 받기가 여간 어렵지 않군요. 앞으로 한 두 번만 더 하면, 이 유곽 거리에서 아씨 자매님보다 더 잘 차는 사람은 없을 것 같습니다. …(중략)… 하며 아첨을 떨고, 화대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정작 그네는 공을 두 번쯤 차고 나자, 벌써 눈 앞이 어지럽고 숨이 가빠지며 이마에 땀이 흘렀다. …(중략)… 계경 · 사희대 · 장소한 셋이 축국을 하고, 백독자와 나희자 둘이 땅에 떨어진 공을 주워 오는 것을 구경하였다.

축국을 업으로 삼는 원사들에 대한 시(「조천하()」)가 있다.

집안에 있을 때는 할 일이 없고
아무 데고 발 닿는 데에서 빌어 먹는다.
빈둥빈둥 놀면서 일은 하지 않으니
공이 유일한 짝이로구나.
날이면 날마다 거리에 나가
가난뱅이를 보면 돌아서고
부자만 좇아서 뒤 따르지만
그러나 시장기는 면치 못하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돈도 못 버누나.

그들은 공을 다루는 재주는 있으나, 나날의 생활은 말이 아니었다. 아내들은 호구를 위해, 예사로 딴 사내에게 몸을 팔기도 하였다(제15회).

당시 축국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의 집단적 조직인 원사가 있었고, 이들이 여기 저기 다니며 묘기를 보이거나, 축국을 가르치기도 한 것이다. 공을 머리로 받기도 한 것은 흥미롭다.

축국은 20세기에도 이어졌다. 『연경세시기』 내용이다.

10월 이후 가난한 집 아이들은 돌을 갈아 만든 공을 앞 뒤에서 번갈아 차서 승부를 짓는다. 연경은 추위가 심한 까닭에 발가락이 동상에 걸리기 쉽다. 아이들이 공을 발로 차면 피가 잘 돌아 추위를 덜 수 있다. 이는 축국의 하나이다.

스튜어트 컬린(S. Culin)도 “흙이나 회를 헝겊으로 싼 평평한 공에 꿩 장목을 꽂았으며 상점 주인들이 발을 따뜻하게 하려고 찼다. 광동지방 출신들이 미국에서 이와 비슷한 놀이를 벌였다.”고 적었다.

일본 축국은 『왜명유취초()』에 “국()의 음은 국()이다. 또 구()의 이름은 ‘마리’로, 가죽 주머니에 겨()를 채우고 찬다.”고 적혔다. 가장 오랜 기록은 『일본서기』에 있다.

…(전략) 나까도미노 가마고노무라지()는 …(중략)… 나까노 오오에()가 법흥사() 느티나무 () 아래에서 무리와 함께 축국()을 할 때 공을 차는 순간 가죽신이 벗겨지자, 두 손으로 받아들고 나아가 무릎을 꿇고 바쳤다. 나까노 오오에도 무릎을 꿇고 받았다(「」 3년[644] 정월).

‘절간의 느티나무 아래’ 운운한 부분에서, 축국을 궁중 의식의 하나로 삼은 것을 알 수 있다. 미나모토()의 『서궁기(西)』에 “다이고()천황이 신하의 묘기를 구경하였다.”는 내용이 전하며, 953년 무라카미()천황이 공을 520번 이상 차는 동안 땅에 떨어뜨리지 않은 자에게 녹()을 주었다는 기록도 있다. 12세기에는 점점 의례화하여 경기 자체보다 차는 법을 중시하였으며, 기예를 중심으로 하는 독점적 가업()으로 전승되었다.

13세기의 축국서 『내외삼시초()』에 따르면, 당시 구장은 가로 17미터, 세로 27미터의 네모꼴 평지였다. 중앙부에 가로 6.6미터, 세로 6.9미터의 정방형 정점이 되도록 동남쪽에 버드나무, 동북에 벚나무, 서북에 소나무, 서남에 단풍나무를 심어서 네 계절을 나타냈다. 이것은 경기 기술상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공을 일부러 나무 위로 차 올려서 가지에 걸린 공이 어디로 떨어질지 모르게 하는 재간을 펼친 것이다. 한 동아리는 보통 4~6명이며, 경기장 크기에 따라 8명도 놀았다. 지름 24센티미터의 공은 큰 숫 사슴 가죽으로 만들었으며, 가죽 구두를 신고 찼다. 복장도 따로 갖추었고 관이나 모자를 쓰는 것이 관례였다.

하루[또는 일모()] 축국은 서() · 파() · 급()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마다 차는 법이 달랐다. 서는 천천히 기본적인 재주를 펼치는 것이고, 파는 고도의 재간을 보이는 것이며, 급은 공을 떨어뜨리지 않고 차는 회수를 겨루는 일이다. 소나무 아래의 사람이 처음 세 번 찬 다음 다른 사람에게 넘기며, 이를 일단삼족()이라 한다. 처음에 공을 받고, 두 번째 높이 차 올려서 기량을 과시하며, 세 번째 상대가 받기 쉽도록 넘긴다.

축국도

축국도

12세기말에는 무사들도 이를 즐겼다. 요시다 겐코의 『도연초』 내용이다.

가마쿠라() 츄쇼오(, 막부 장군  왕자)가 계신 곳에서 축국 경기를 벌일 때이다. 비가 내린 뒤라 마당이 질어서 대책을 세우는 중이었다. 그 때 사사키노오키노()가 달구지에 톱밥을 가득 싣고 와서 바쳤다. 이것을 마당에 가득 깔아서 진흙탕에서 축국을 하는 곤란을 피할 수 있었다. (후략)…

14세기에 하나 조노(, 1308~1318) 천황이 축국이 왕자의 놀이가 되지 못한다고 일러서, 축국회를 폐지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그 동안 축국을 궁중에서 일상적으로 벌여왔던 것이다.

13세기 이후에는 서민들 사이에도 유행하였으며, 축국을 가직()으로 삼는 공가()가 나타났다. 비조정() · 난파() · 어자좌() · 삼종가() 등이 나온 뒤 삼종가()에서 면허증까지 발급하였고, 축국에 관한 의식과 방법도 이들 공가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15세기 이후에는 비조정가만 남아 현재에 이른다.

축국 연기자는 축족(), 명수를 상족(), 미숙자는 비족()이라 불렀다. 16세기에는 높이 15발()에, 10미터 길이의 줄을 매고 그 위에서 외다리로 족국()을 하며 건넌 재주꾼도 있었다( 『』 73 「」).

근래에는 교토에 축국보존회가 이어 온다. 1966년 1월, 한 신사()에서 벌어진 축국 광경이다.

공은 사슴 가죽 두 장과 말 가죽으로 만들며, 먼저 신사의 본전(殿)에 바치고 기도를 올린 뒤, 단풍나무 가지에 묶어서 경기장으로 옮긴다. 이 때부터 여러 글귀를 붙인 검은 건()을 쓴 8명이 공을 찬다. 공은 하늘 높이 솟아 오르고 때로 열 댓 번까지도 찬다.

교토의 한 신사에서 축국 공을 들고 나오는 장면

교토의 한 신사에서 축국 공을 들고 나오는 장면

상대가 무릎을 꿇고 받는 장면

상대가 무릎을 꿇고 받는 장면

공을 들고 돌아간다

공을 들고 돌아간다

둘러서서 차기

둘러서서 차기

나카지마 가이()는 축국이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들어왔다면서, 문을 하나 세우고 겨루는 방법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였다.

중고() 무사들이 즐긴 놀이이다. 홍 · 백 두 편 가운데 한 쪽이 문에 미리 정한 만큼 공을 넣으면 심판이 금은 또는 다른 색의 공을 준다. 이를 양구()라 하며, 이를 문에 넣는 쪽이 이긴다. 상대는 이를 적극 막는 동시에, 자기 패들이 공을 넣게 하려고 애쓴다.

축국은 동남아시아에도 펴져 있으며, 이 지역 도서부에서는 세빠 · 라가라 한다. 말레이말 세빠(sepak)는 차기()이고, 라가(raga)는 공이라는 뜻이다. 오늘날의 공식 명칭인 세빠 타크로(takraw)는 말레이어 세빠와 타이어 타크로(축)의 합성어이며, 1956년에 경기 방법이 확정되었다. 등나무 공의 지름은 14센티미터, 무게는 160~180그램이다. 구장은 세로 13.42미터, 가로 6.1미터이고, 문에 높이 1.55미터의 그물을 친다. 경기는 세 명씩, 배구형식으로 벌인다. 말레이시아 · 타이 · 싱가폴 · 미얀마 · 인도네시아 · 인도 등지에 협회도 결성되었으며, 구미 호주 등지에서도 애호가가 늘고 있다.

축국 신사

축국 신사

여성의 축국

여성의 축국

중국의 축구는 제기처럼 여럿이 둘러서서 차거나, 따로 마련한 경기장에서 두 패가 상대의 문에 차 넣는 두 가지 방식이 있었다. 문도 하나만 세우거나, 양쪽에 두 개를 두거나, 아예 두지 않기도 하였다. 우리가 일본에 축국을 전하였고, 뒤의 방식이 일본에 들어간 것을 보면 우리도 즐겼을 법하지만, 이에 관한 기록이 없다. 일본에서 이를 기예로 삼아 특정 가문에서 독점적으로 이어온 것은 특이한 일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년 십덕 정모 개최 [12] 그분 2017.09.12 14447
공지 회원님들의 떨어진 십부심을 향상시켜 드리고자 문서 하나 공개합니다. [15] 그분 2013.07.06 309801
282624 차세대 진짜 하려나봄 [1] ㄲㅊ 2018.07.04 59
282623 이거 삼 [3] 그분 2018.07.04 60
282622 회사 모니터 하나 고장나서 하나삼 [5] ㄲㅊ 2018.07.03 76
282621 공기업 무기계약직으로 선임님이 이직했네요 [5] ㄲㅊ 2018.07.02 136
282620 티맥스 얘네 담주 화요일에 또 뭐 하네 [2] ㄲㅊ 2018.06.30 54
282619 비도오고.. 크흠... [1] ㄲㅊ 2018.06.30 41
282618 반차를 사용하고 감상문 [1] 當_當 2018.06.29 54
282617 오랫만에 생각났다. [1] file 어머니 2018.06.29 50
282616 독일전을 보고 감상문 [1] 그분 2018.06.28 78
282615 차이코스를 사고 나서 감상문 [1] 그분 2018.06.27 205
282614 대리급 연봉 어느정도인가여 it에서 [2] ㄲㅊ 2018.06.27 77
282613 아 집 가고 싶다 [3] 식객민우 2018.06.27 40
282612 xz1으로 스마트폰 바꿈 [1] ㄲㅊ 2018.06.24 53
282611 한국 16강 진출 가능성 [1] 그분 2018.06.24 59
282610 김마존이 작두탔네 병싴ㅋㅋㅋㅋㅋㅋ [1] 그분 2018.06.24 124
282609 오늘 축구 작두나 타보자. [4] 어머니 2018.06.23 54
282608 1:2로 진다에 내기 걸었는데 [1] 김마이클존슨 2018.06.19 62
» 축국를 감상하고 감상문 [1] 當_當 2018.06.19 397
282606 근데 왜 골대 앞에서 태클함? [1] 그분 2018.06.18 53
282605 축구 광화문 가서 보다가 그분 2018.06.18 32